반응형

독일설계사무소 3

독일 설계 사무소, 일하는 이야기, 디테일 도면의 차이

어느덧 한국에서 일한 년수보다 독일에서 일한 년수가 더 오래되었다.내가 독일오기전에 가장 궁금했던건 한국인들이 독일 설계사무소에서 어떻게 일할까? 이다.내가 일하는게 모든 독일사무소의 모습은 결코 아니고 케바케 사바사이지만, 그래도 나의 이야기를 써볼까 한다. 한국에서는 4년정도 일했고 프로젝트 한 세개정도를 끝마쳤다.독일에 와서는 3년동안 L사무실에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중간부터 맡아서 끝냈고 지금 있는 사무실에선 2년동안 팀으로 작업하며 실시설계를 위주로 하고 있다. 한국에선 주택과 마지막에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독일에선 모두다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위주로 하고있다.독일 첫 사무소는 20명 남짓한 동료직원과 4명이 소장이였다.내가 맡은 프로젝트는 소장이랑 둘이서 부동산 회사 사옥 리노베이션이였다..

디알./일상 2025.01.27

[독일생활] 한국 건축사무소와의 비교(아뜰리에)

독일 오기 전에 3년정도를 서울 소재의 아뜰리에에서 일을 했다. 사실 3년동안 두군데를 다닌거라 완벽하게 잘 알진 못하지만 두번째 사무소에서 그래도 3개 4개의 소규모 프로젝트를 끝마쳤기 때문에 건축의 프로세스는 어느정도 알고있다고 할수있다. 지금은 다 까먹은거 같지만....ㅎㅎ 내가 독일오기전에 가장 궁금했던건 독일건축사사무소는 어떤 식으로 일을 하는가였다. 나는 한국에 있을때 7명 내외의 작은 소규모 아뜰리에를 다녔고 지금은 20-30명정도의 중규모 사무소를 독일에서 다니고있다. 우리 사무소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현상설계가 없다는 것이다. 현상설계는 공모전처럼 몇개의 사무소들이 각자의 디자인을 내면 건축주들이 선택하는 것인데 그래서 야근도 많고.. 해야할것도 많고 그렇다고 한다. 사실 아뜰리에 다닐..

독일에서 구직하기 : 드디어! (3)

두달 뒤 울면서 짐싸면서 한국갈꺼같았던게 드디어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구직에 성공했다. 사실 완전한 성공은 아직 이르다. 여기는 6개월의 수습기간이 있고 나는 그 수습기간을 거쳐야 진정한 직원이 된다. 산넘어 산이고 퀘스트깨니 더 어려운 퀘스트가 나오는것같다. 비자퀘스트... 독일어 퀘스트.... 프로그램퀘스트... 회사적응 퀘스트.....휴.... 먼저 나는 건축협회사이트를 둘러보면서 2개월내의 구직공고를 낸 회사에 지원했고 두번째는 구글맵을 펴놓고 쫙 한바퀴 돌면서 모든 독일 사무소의 홈페이지를 들어가보고 거기에 따로 구직공고가 있으면 지원했다. 그렇게 20군대를 지원하고 인터뷰 달랑 두개를 얻었다. 그리고 인터뷰 두군데에 탈락. 둘다 좋은느낌이였는데!!!! 그리고나서 이제 나는 절망하며 전화를 돌..

디알./일상 2020.01.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