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고 듣고 느끼는것/영화 12

[스포없음] 나이들더니 많이 자애로워진 봉준호?, 미키 17 후기, Mickey 17

나는 봉준호 영화를 좋아한다.전부 다는 아니지만 내 인생영화 Best 3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봉준호의 마더이다.나머진 곡성과 레퀴엠 포 어 드림(취향을 가늠할듯?)물론 기생충도 너무나 재밌게 보았다.하지만 Best 3까진 아님봉준호의 영화 중 젤 좋아하는 영화는 마더와 기생충이다.나는 뭔가 그런식의 영화를 좋아한다.어두운데 엄청 어둡진 않고 그런데 결말이 찝찝한, 영화관에서 나온 이후로 한 일주일간 머리속에서 계속 생각나게 만드는 영화들. 오랜만의 봉준호의 신작 미키 17이 나왔다고 해서 꼭 보고 싶은 마음에 독일 개봉 첫날 영화관에 가서 보았다.보기 전에 매불쇼나 후기들을 대충 보고 갔는데 재밌지만 봉준호꺼 치고 약하다.라는거여서 기대를 낮추고 갔다. 결론적으로 보면 위의 말이 다 맞다.재밌고 꼭 ..

독일어 공부하기 좋은 영화, 모아나2

영화 무료 관람권이 생겨 엡루와 간만에 영화를봤다. 영화는 요즘 모아나2가 재밌다 그러고 다른 영화는 흥미가 떨어져서 모아나 2를 예약했다.(차라리 베놈을 볼껄 그랬나)근데 이상한건 독일어이름은 모아나2가 아니라 바이아나2로 주인공 이름이 개명되어 있었다. 엡루와 나는 모아나1을 보지 않아서 엡루는 내가 말한 영화 제목을 못알아들었다.찾아보니 모아나라는 이름이 유명한 포르노 배우의 이름이랑 똑같아서 바꿨다고… 하긴 애들이 주 시청자일텐데 아무래도 ㅋㅋ근데 바이아나를 찾아보니 브라질 전통의상이 나오는데 아 그래도 작명을 좀 할꺼면 좀더 감수성을 갖추고 하지 이게뭐냐. 꼭 한국인으로 설정된 애한테 김치라고 붙이는거랑 같은 꼴 아닌가 무튼…영화는 그냥 저냥 괜찮았았다.(베놈볼껄 그랬나)특히 좀 놀랐던건 3D ..

반드시 '극장'에서 봐야할 영화, 글래디에이터 2, Gladiator II

매주 매불쇼를 꼬박꼬박 놓치지 않고 듣거나 보는편이다.다 재밌지만 가장 재밌는 건 역시 시네마 지옥!!!!! 이번주 시네마 지옥에서 신작으로 글래디에이터 2를 소개해주었다.평소 한국영화는 신작이 나와도 못보러가서 너무 아쉬웠는데 이번 신작은 독일 영화관에서도 개봉중이여서 마르쎌이랑 보러갔다. 무려 글래디에이터 2.초딩때 글래디에이터를 보고 한동안 아니 꽤 오랫동안 나의 최애 영화였다.  호아킨 피닉스의 섹시했던 콤모두스.그리고 러셀크로우의 연기캐리. 너무 좋았었다. 결말까지도 완벽했다.사실 새드엔딩을 좋아하진 않지만 이 글래디에이터에선 새드엔딩이 완벽했다.  글래디에이터 2에선 가끔 글래디에이터 1이 등장하는데 이게 꽤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효과가 있었다.너무 좋았음.글래디에이터 1이 러셀크로우의 연기캐리..

[악마는 사라지지 않는다] 악마는 사실 내 안에 있는걸지도 모르겠다. 스포주의.

나는 최욱과 정영진의 매불쇼를 좋아한다. 너무 웃겨서 매일 듣는데, 매불쇼의 묘미는 금요 영화코너에서 패널들과 최욱 정영진이 추천하는 영화를 보는 것이다. 저번엔 티탄을 봤다가 망했지만 망한것도 나름 의미는 있다. 비록 괴랄했지만 티탄에 나온 음악들은 내 취향과 딱 맞아서 요즘도 즐겨 듣는 내 음악리스트가 되었다. 무튼 저번 금요일에는 최욱이 "악마는 사라지지 않는다"를 추천했고 웬지 제목부터 땡기고 인간 내면에 대한 영화를 좋아하는 나는 꼭 봐야겠다고 생각했고 어제 보았다. 역시. 소설 원작이라 그런지 나레이션도 있고 가끔 시간이 빨리 흐르기도 하고 뭔가 뛰어넘었다 라는 생각을 들게하지만 영화 자체는 좋았다. 배경은 미국 1950년대, 한 미군이 동부 솔로몬 해전에서 십자가에 매달려 참혹한 현상으로 죽..

[티탄] 안본 눈 삽니다!!! 끝까지 괴랄했던 영화

스포유. 스포유!! 영화 감상에 앞서서 일단, 내가 이 영화를 다보고 바로 그 즉시 든 생각. 1. 이게뭐야 2. 도대체 뭐지 3. 프랑스 감독이 상받은 영화는 이제 다시 안볼것이다. 사실 예전에 영화가 개봉할때 차랑 사랑을 나누고 임신하게 되는 영화라고만 알고있었는데, 자주 듣는 매불쇼 영화코너에서 세 평론가가 추천하기에 얼마나 재밌을까 하며 보았다. 이 영화는 처음에 알렉시아가 사고를 당해서 머리에 티탄을 이식하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친아버지가 알렉시아에게 했던 무심하고 관심없는 행동들, 그리고 그 행동은 알렉시아가 성인이 될때까지 이어졌던 것 같다. 그러면서 알렉시아는 차앞에서 춤을 추는 일을 하며 남성들에게 추파를 받고, 하지만 알렉시아는 남성, 혹은 여성에게도 사랑을 느끼지 못하며 차에게 사..

[화이트라인] 그 선을 넘지 말라!

부활절기간에 하루 페인트칠하고 남은 삼일은 마르쎌네를 놀러와서 지냈다. 코로나 때문에 어디 못가고 날씨도 넘 추워져서 집에 박혀서 넷플릭스만 보았다. 이것 저것 넷플릭스에서 볼만한 시리즈를 찾고있는데 마르쎌이 자긴 한번 봤지만 볼만하다며 추천해줘서 나는 처음 마르쎌은 두번째로 보기 시작했다. 다 보고나니 여운이 꽤 오래남았다. 화이트 라인. 뭐 나는 길을 따라 찾아가는 여정인가 싶기도 했고 영화 처음 줄거리는 20년전 살해당한 오빠의 자취를 여동생이 추적했기 때문에 그의 발자취를 하얀 선으로 그린건가 싶기도 했으나 완전 다른 이야기였다. 인생, 관계 등 모든것에 걸친 넘지 말야할 선에 관한 이야기이다. 선을 넘지말아야할 행동, 선을 넘지 말야할 관계, 신기하게도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서양에서도 이 선을 그..

[Vergifitete Wahrheit] 일상의 편리함이 결국 독이되다.

2주가 넘는 긴 휴가를 맞이했지만 코로나때문에 집에만 머물수밖에 없기에 마르쎌과 나는 영화를 한편 보았다. 사실 한편이 아니라 넷플릭스 여러 시리즈도 보고 시간을 때웠지만 이 영화를 보고 바로 내 생활환경의 변화를 줄 수 밖에 없었기에 여기에 이렇게 써본다. 독일어론 Vergiftete Wahrheit, 한국어는 다크워터스, 영어론 Dark Waters 독일어로 영화를 볼수밖에 없어서 디테일적으로 얼마나 잘 이해했는지는 사실 의문이지만 큰 흐름은 이해했기에 써본다.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된 영화이고 아직도 현재진형중이다. 처음엔 한 마을에서 소들이 죽기 시작하면서 이 소들의 소유주인 농장주가 이웃이였던 할머니의 손자가 변호사인걸 알고 소들의 죽은 후 해부해보니 이상했던 심장과 치아 간등을 증거로 가..

[die Welle, 2008] 우리안의 die Welle

독일어 공부를 좀더 효과적으로 잘하고 싶어서 독일 영화들을 찾아보기 시작했다.반복해서 볼 영화를 찾아다녔는데, 그중 눈에 띈게 바로 이 디 벨레이다. 이 영화를 보고 놀란점이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이런 영화를 독일에서 만들었다는 점과이 영화속 장면 장면들이 너무나 낯익다는 것이다. 라이너 선생님은 처음에 독재는 또다시 독일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인가? 에 대한 의문으로 수업을 시작한다.아이들은 있을 수 없는일이라고 하지만 라이너 선생님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시험해본다. 그런데 라이너 선생님이 이 독재를 하기위해 실행하는 방식들,예를 들면, 선생님이 오시면 반장이 일어나서 인사하게 하고 모두 자리에 앉고,손들면 선생님이 지목을 해야 발표를 하고, 유니폼을 입고다니고, 자신만의 문양을 만들고, 집단의 이름을..

[The Shape of Water] 사랑의 본질에 대하여

사랑이란 무엇일까 아마 죽을때까지 사람들은 사랑을 본인의 나름의 의미로 정한채로 혹은 변해가며 살아갈 것이다. 이 영화는 그렇게 각기 전부 다 다른 사랑 중 하나의 사랑을 보여준 영화라고 생각한다. 줄거리를 한줄로 요약하자면 '농아인 여자 주인공과 인어라고 생각되어지는 미지의 생명체의 사랑'이다. 물론 이 영화는 저렇게 짤막한 한줄로 다 담아낼 수 없는 영화다. 올해 상반기의 최고의 영화가 아닐까라고 한번 짐작해본다. 영화를 관통하는 미지의 생명체와 여주인공의 사랑의 줄거리보다 그 주변을 멤도는 소외된 계층의 스토리가 훨씬 더 마음에 들었다. 농아인 여주인공 주변에는 게이인 할아버지, 흑인여자 등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또한 이들과 대비되는 백인 장군의 삶. 미국의 60년대 부유했던 백인의 가정을 보여주는..

[1987] 2017 촛불혁명의 원조.

오랜만에 영화를 보러가기로 하였다. 룸메와 나 남친 이렇게 셋이서 롯데시네마에서 보기로 하였다. 1987년은 내가 태어나기 한 해 전이였고 어렴풋이 시민혁명이 있다는 이야기는 알고있었다. (역알못....) 제작년 대학원 수업으로 남영동 대공분실을 찾아갔었고, 거기서 박종철이란 인물을 처음 알게되었던것 같다. 많이 부끄럽지만, 이과생들의 역사의식은 나정도로 보면 될것같다. 물론 아닌 사람들도 있지만... 변명이라면 나는 대학원생이 되고서야 한국 현대사에 대해 조금 알게되었던것 같다. 많이 반성하지만, 어쨌든 각설하고, 이 영화는 다양한 인물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시켜나간다. 한명의 인물이 아니라 1987년 시민 혁명이 시작된 계기를 다양한 인물들의 양심적인 행동을 통해 어떻게 진행되어 갔는지를 보여주는 ..

반응형